1980년대 이전 전통적인 관점에서는 행동에 기능이 있다는 이해가 부족하였습니다. 그래서 관찰되는 행동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었습니다. 행동의 빈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처벌적 접근, 사후 반응적 접근, 혐오 자극 제공 등 획일적이고 다소 윤리적이지 않은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긍정적 행동 지원'입니다. 긍정적 행동 지원은 모든 학생의 행동을 관리하기 위하여 예방적인 접근을 기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문제 행동이 개인의 결함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개인이 속한 환경 내에서의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행동 발생을 예방하고 개인의 적응과 성장, 참여 및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합니다. 오늘은 긍정적 행동 지원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법적 근거
미국 장애인교육법(IDEA)에서는 자신과 타인의 학습을 방해하는 학생의 행동을 다루기 위해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 전략'을 고려하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법에서 긍정적 행동 지원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없습니다. 하지만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28조(특수교육 관련서비스)에서 학생과 가족을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명시하고 있고, 이를 근거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 행동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긍정적 행동 지원의 주요 요소
긍정적 행동 지원은 9가지 주요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요소 | 내용 |
생태학적 접근 | 문제행동은 개인이나 장애 때문이 아니라 환경 때문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환경 내 맥락을 살핍니다. |
진단 기반 접근 | 환경 내 맥락과 개인이 보이는 행동의 기능에 대해 분석하여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 기능을 고려한 지원을 실시합니다. |
맞춤형 접근 | 중재는 중재 대상의 선호, 흥미, 생활 양식 등에 맞추어 실제적이고 현실적으로 구성합니다. |
예방 및 교육적 접근 | 문제 행동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들을 수정함으로써 행동의 발생 자체 예방해야 합니다. 더불어 개인이 특정한 상황에 대처하거나 그 상황을 바꿀 수 있는 대체 행동을 가르침으로써, 행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을 병행합니다. |
삶의 방식과 통합 중심 접근 | 전통적 접근에서처럼 행동 발생 자체 감소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삶의 방식이 변할 수 있도록 삶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지원합니다. |
종합적인 접근 | 문제 행동의 예방, 대체 행동 교수, 환경 조정, 삶의 방식 변화 등을 위해 다양한 중재를 적용합니다. |
팀 중심의 접근 | 교사, 학부모, 보조 인력, 전문가들이 공동의 목표와 가치를 중심으로 협력하여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합니다. |
대상자 존중 |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중재 대상의 생활연령, 가치관, 필요 등에 관심을 가지고 존중합니다. |
장기적인 효과 중심 | 개인의 삶은 지속되므로 생애 주기별로 변화하는 부분도 고려하여 중재합니다. |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은 학생과 교직원의 바람직한 변화를 만들기 위해 긍정적 행동 지원의 가치, 관점, 요소들을 학교 장면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프로그램이나 교육과정이라기보다 모든 학생의 학업적/사회적 성취를 향상시키고 교직원의 긍정적 행동 변화를 위해 학교 시스템과 절차를 개선하고 환경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즉,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은 학생의 성취 향상을 위하여 증거 기반 실제를 적용하고 이를 통해 의사결정과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은 각 학교의 특성과 필요에 맞게 세부 사항을 결정하고 결과를 계속 평가하여 언제든 유연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층적 예방 모형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에서는 다층적 예방 모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차 예방 단계는 모든 학생, 교직원, 환경을 위한 보편적 지원으로, 모든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적인 구성을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학교 차원의 규칙 가르치기, 적절한 행동을 강화하기 긍정적인 학교 문화 조성하기 등이 포함됩니다.
2차 예방 단계는 보편적 지원을 받았음에도 학업 기술이 부족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빈번하고 지속해서 보이는 학생을 대상으로 소집단 교육을 실시하는 표적 집단 지원입니다. 표적 집단 지원은 보편적 지원의 기대 행동과 연계되어 고안되어야 하며, 문제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여 그 기능에 맞는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표적 집단 중재 실행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적 집단 중재 실행 절차 |
표적 집단 중재 대상 학생 선별 |
표적 집단 중재 전략과 범위 결정 (사회성 기술 교수 프로그램, Check-In Check-Out, 멘토링, 또래 교수, 행동 계약 등) |
적절한 지원 강도 결정 |
학생의 진보 점검, 성취 목표 평가 |
중재 점검 및 3차 개별 지원 의뢰 |
3차 예방 단계는 개별 지원으로, 표적 집단 중재에도 반응하지 않으며 심각한 문제 행동이 지속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됩니다. 기능적 행동 평가를 통해 문제 행동의 기능을 파악하고,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 중재 계획을 개발하여 적용합니다.
'특수교육 > 특수교육 개요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특성, 집착에 대하여 (0) | 2022.06.08 |
---|---|
장애 학생 대안 평가 (0) | 2022.06.06 |
장애 아동과 레고 테라피(Lego-based therapy) (0) | 2022.06.04 |
장애학생 평가 조정 (0) | 2022.06.02 |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 평가 도구 (0) | 2022.05.29 |
댓글